알뜰교통카드란?
국내 대중교통 이용자들을 위한 '알뜰교통카드'가 점점 더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. 이 카드를 이용하면 교통비를 절약할 수 있으며, 특히 19~34세 청년들에게 높은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.
'알뜰교통카드' 를 사용하면 교통비 지출에 따라 최대 적립 가능한 마일리지가 다르게 지급됩니다. 19~34세 청년들을 위한 기준으로, 교통요금이 2천원 미만인 경우 최대 350원, 2천원 이상 3천원 미만인 경우 최대 500원, 3천원 이상인 경우 최대 650원까지 마일리지를 적립할 수 있습니다.
예를 들어, 19~34세의 알뜰교통카드 이용자가 편도요금으로 1400원을 내고 800m 이상 도보나 자전거로 이동하면, 1회당 350원의 마일리지가 적립됩니다. 이렇게 마일리지를 적립하면 교통비에서 기본요금의 30% 정도를 환급받을 수 있는 것이죠.
다만, 월 15회 이상 알뜰교통카드를 사용해야 마일리지가 환급되며, 월 최대 마일리지 적립 횟수는 60회로 제한되어 있습니다.
교통비를 절약하려는 대학생 최모(21)씨는 "작년 2월부터 알뜰교통카드를 사용하며 매달 평균 교통비의 20~25%를 절약할 수 있어 큰 도움이 된다"고 언급했습니다.
알뜰교통카드는 실물카드와 모바일 교통카드 중 원하는 형태를 선택해 발급받을 수 있으며,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알뜰교통카드를 발급받은 후 알뜰교통카드 앱에 등록해야 합니다.
현재 알뜰교통카드는 국민·농협·비씨·삼성·신한·우리·하나·현대카드, 광주은행, 기업은행, 캐시비, 케이뱅크, 디지비(DGB)대구은행, 카카오페이, 티머니 등 15곳에서 발급 가능하며, 카드사별 혜택 등 자세한 사항은 알뜰교통카드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 교통비를 절약하고 싶은 모든 이용자들에게 추천드립니다.
"알뜰교통카드로 최대 30%까지 교통비 절약 가능"
먼저, 알뜰교통카드는 출발 지점과 도착 지점의 좌표 및 대중교통 사이의 이동 거리를 자동으로 계산하여 마일리지로 적립해줍니다. 이 과정을 간단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.
- 출발하기: 알뜰교통카드 앱을 열고 '출발' 버튼을 누릅니다. 그 후, 버스 정류장이나 지하철로 이동합니다. 이때 알뜰교통카드를 사용해 대중교통을 이용합니다.
- 이동 중 마일리지 적립: 이동 중에는 이동한 거리에 따라 마일리지가 적립됩니다. 출발지에서 대중교통 탑승 지점까지, 그리고 하차 지점에서 목적지까지 사용자가 이동한 거리에 따라 마일리지가 차등으로 적립됩니다. 최대 이동거리는 800m까지 인정됩니다.
- 도착하기: 최종 목적지에 도착하면 '도착' 버튼을 누릅니다. 그리고 이동한 거리에 따라 마일리지가 자동으로 적립됩니다.
알뜰교통카드를 통해 이동한 거리에 따라 교통비를 환급받을 수 있어, 교통 이용 시 절약하고 싶은 이용자들에게 적극 추천합니다. 이용자들은 이 카드를 이용해 월 교통비의 최대 30% 이상을 환급받을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며 편리한 대중교통 이용이 가능합니다.
'티머니 앱' 등 적극 활용하면, "370원으로 지하철 탑승가능"
티머니GO를 활용하면 교통비를 환급받을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. 특히 티머니 선불카드(티머니카드, 티머니페이, 모바일티머니)를 이용하는 경우, 교통 이용일수에 따라 매일 최대 100원의 마일리지를 적립할 수 있으며, 월 최대 1500원의 마일리지를 받을 수 있습니다.
먼저, '티머니GO' 앱을 다운로드하고 사용 중인 교통카드(티머니 선불카드)를 등록합니다. 그런 다음, 주 3일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이동한 거리에 따라 마일리지를 적립할 수 있습니다. 티머니GO는 고속·시외버스, 택시, 따릉이 등을 통합해 운영하고 있는 앱으로, 이용자들에게 많은 혜택을 제공합니다.
이 외에도 모바일티머니에서는 10월 말까지 신규 가입 고객을 대상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마다 300원씩 T마일리지로 환급해주는 '모바일티머니 교통비 인상분 환급프로젝트'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. 이 이벤트를 통해 월 최대 1만5천원까지 마일리지를 적립할 수 있습니다.
또한 서울시 청년 대중교통비 지원사업도 교통비를 환급받을 수 있는 또 다른 방법입니다. 이 프로그램은 19~24세 서울 거주 청년 15만명을 대상으로 대중교통 지출액의 20%를 마일리지로 돌려주는 정책으로, 연간 최대 10만원을 지원합니다. 올해의 신청 기간은 이미 마감되었지만, 서울시는 내년 상반기에도 이 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.
이렇게 알뜰교통카드(최대 350원), 티머니GO(최대 100원), 모바일티머니(300원), 서울시 청년 대중교통비 지원사업(280원)을 모두 활용하면 최대 1030원의 교통비를 환급받을 수 있는 계산이 나옵니다. 교통비 절약을 고려하는 모든 분들에게 유용한 정보일 것입니다.
'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한국중앙인재개발원 강의 문제 정답 모음 (산업안전 상반기 4~6차시 평가) (0) | 2024.06.04 |
---|---|
한국중앙인재개발원 강의 문제 정답 모음 (산업안전 상반기 1~3차시 평가) (0) | 2024.06.04 |
[🌟팁🌟] 일상 한국어를 일본어로 말해보자(feat.니시무라 호노카)🌈 (0) | 2024.02.01 |
일상 속 음식 칼로리 정리2(한끼기준)-미역줄기 볶음, 시금치무침, 오이무침, 두부조림, 고구마맛탕 (0) | 2024.01.20 |
일상 속 음식 칼로리 정리표(1끼 기준)-비빔밥, 김치찌개, 된장찌개, 불고기, 제육볶음 (0) | 2024.01.20 |
댓글